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맵
회사소개
  • 인사말
  • 오시는 길
  • 원장칼럼
홈 > 의원소개 > 원장칼럼
제목 사회공포증 등록일 2017.03.14 17:49
글쓴이 김기현 조회 1140
사회공포증 2011년 7월 28일

말을 더듬는 영국 국왕 조지 6세가 어떻게 치유되는지를 보여주는 영화 ‘킹스 스피치’를 나는 보았다. 나도 역시 조지 6세 처럼 사회공포증이 있었다. 사람들 앞에서 말을 더듬었을 때, 나는 불안했으며 공포에 떨었다. 왕이 경험한 수치감, 무력감, 절망감등이 나와 다르지 않았다. 나도 혀가 굳어서 제대로 된 발음이 나오지 않았다. 몇 번이고 힘들여서 반복할 때의 나의 모습이 정말 싫었다. 나를 지켜보는 사람들이 그런 나를 의아한 시선으로, 실망하고 조소하는 표정을 지을 때 나는 괴로웠다. 이 문제가 극복될 때까지 하루하루가 불안했으며 아무리 즐거운 일이 있더라도 즐겁지 않았다. 사회공포증을 극복하기 위해 나는 혼자 거울 앞에서 발성 연습을 수백 번씩 하였다. 영화에서 왕의 부인은 좋은 치료자를 찾기 위해 짙은 안개를 뚫고 좁은 엘리베이터를 타는 수고를 아끼지 않는다. 치료사 라이오넬 로그는 정규 교육을 받은 의사도, 심리학자도 아니었다. 그는 제대로 된 자격증을 가지고 있지 않았으며 권위적인 치료자로서 경력이 없었다.다만 그는 전쟁의 후유증으로 말을 못하는 군인들을 치유한 성공사례들이 있었다. 그런 사례를 통해 그는 이완요법, 운동요법만으로는 공포에 떨고 있던 군인들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 그는 개인적으로 군인들과 좀 더 친밀해지고 고통을 들어주고 그들의 고통을 감싸는 길이 성공의 열쇠라는 것을 깨닫는다.나는 중학교 때 반장으로서 말더듬 구령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 근육이완 요법을 해 보았지만 소용이 없었다. 극복의 비결은 반 친구들이 나의 약점을 욕하고 비웃는 것이 아니라 나의 약점을 감싸주고 도와줄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는 것이었다.조지 6세는 해군 장교로서 누구보다 용감했고 강했다. 그러나 그는 항상 자신이 약하다는 잘못된 믿음을 가졌다. 그래서 그는 강한 모습을 보이려고 노력했다. 아버지 조지 5세는 칭찬에 인색해서, 조지 6세는 아버지가 죽을 때 즈음에야 용감하다는 칭찬을 들었다고 한다. 그는 예상 밖의 아버지의 평가에 놀랐지만 여전히 그가 약하다고 믿었다. 이 영화에서 치료자 로그는 조지 6세 국왕을 ‘버터’라고 부르면서 격식에서 벗어나서 좀 더 가까운 친구관계를 설정하려고 노력한다. 조지 6세의 권위적인 태도는 로그의 치료 방식이 용납이 되지 않고 저항을 한다. 이런 저항은 어릴 때부터의 교육 환경의 순응으로부터 생긴 당연한 반응이었다. 조지 6세는 왕으로서 사회적인 이상상에 맞추기 위해 어릴 때부터 왕실 교육을 받았으며 처절한 노력을 했다. 그가 왼손잡이와 안짱다리를  교정하기 위해 고통을 감수하는 경험 역시 사회적 요구와 이상상의 실현과 관련이 있었다. 그에 비해 형은 좀 더 감정적이고 자유롭고 사적인 측면을 가졌다. 또한 형은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여자와 결혼하기 위해서 국왕의 자리를 사퇴했다. 조지 6세는 형의 이런 측면을 억압했고 소홀히 했다. 그는 이 전의 국왕보다 더 훌륭한 왕이 되려고 노력했지만 말더듬으로 인해 항상 열등감이 있었다.그는 말더듬을 가진 미친 왕으로서 선조들의 명성에 누를 끼치는 존재라고 믿었다. 또한 그는  마음이 약하고 용감하지 않다고 생각해왔다.  그래서 그는 약한 모습을 보이지 않고 강하게 할수록 혀는 더 경직이 되고 더듬거렸다. 그는 사회적인 요구와 평가에 부담을 가질수록 증상은 호전이 되지 않았다. 이런 태도에 벗어나기 위해, 연설 리허설을 할 때, 그는 많은 욕을 넣기도 하고 농담을 하기도 하고 춤을 추기도 한다. 또한 그는 치료자의 사회적인 객관적 평가에 연연하지 않고 학위와 자격증에 관계없이 치료자로 인정하고 지속적으로 치료를 받는다.      사회공포증을 치료하는 전문가로서 나는 그의 치료 모습을 흥미진진하게 보았다. 전쟁과 관련된 대 국민 연설을 할 때, 조지 6세는 자신이 직접 연설한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일부러 더듬거렸다고 말한다. 아마 그는 히틀러가 대중을 사로잡고 카리스마 넘치는 연설가로서 부러워했을 것이다. 그러나 그 역시 자신만의 느린 템포로 한마디 한마디 더듬거리면서 정확하게 말하는 자신의 방식을 터득한 것이다. 그는 부인과 딸들, 총리, 관료들, 많은 국민들이 말더듬에도 불구하고 그를 존경하고 따른다고 확신을 하는 것 같았다. 이 영화에서 사회공포증을 극복하는 치유적인 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증상을 극복하려는 간절한 소망과 노력이다. 둘째는 좋은 치료자를 찾고 만나는 것이다. 셋째는 자신의 약점을 감추지 않고 노출하는 것이며 그런 약점을 싫어하지 않고 포용하고 감싸는 것이다. 왕은 매우 용감한 사람이었지만 약한 부분도 있었다. 그런 약한 부분을 용납하지 않고 완전히 없애려고 했을 때, 그는 사회공포증에 시달리게 된 것이다. 자신이 용감하면서 약하다고 인정하는 길이 치유적인 요소이다. 네째는 주위의 많은 사람들이 친구처럼 친근하고 우호적이며 포용적이라고 믿는 것이다. 영국의 많은 시민들이 왕의 어려움을 알지만 여전히 지지와 존경을 보낸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 치유적인 요소이다.  이런 믿음의 변화는 공포 상황을 도피하지 않고 직면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이것은 매우 어려우므로 초기에 항불안제와 항우울제, 교감신경 차단제 등과 같은 약물의 도움이 필요하다. 불안과 공포를 유발하는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마음을 편안하게 할까라는 질문을 하고 창의적인 대답을 찾는 것이 사회공포증을 극복하는 길이다.  
다음글 | 월요병
이전글 | 융과 나